화려한 성공담이 아닌, 뼈아픈 실패의 기록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책. 박소령 작가의 『실패를 통과하는 일』은 스타트업 창업자의 10년 여정을 통해 진짜 회복과 성장을 이야기한다. 실패를 통과해본 사람만이 줄 수 있는 단단한 통찰을 통해,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정직하게 마주할 수 있는 용기를 전한다.
실패를 기록한 사업 노트, 그 자체가 위로가 되다
박소령 저자의 『실패를 통과하는 일』은 유니콘 기업의 드라마틱한 성공담도, 화려한 엑시트 스토리도 아니다. 오히려 이 책은 실패의 순간을 낱낱이 들여다본, 매우 정직하고 생생한 사업 일지에 가깝다. 창업 10년 간 겪은 시행착오, 레이오프, 투자 갈등, 조직 확장 실패 등 창업자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결정적 장면’ 10가지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 책의 특별함은 실패의 원인을 다른 사람이나 환경 탓으로 돌리지 않는 데 있다. 저자는 대부분의 실패가 스스로의 판단에서 비롯되었음을 고백하며, 그 결정이 초래한 결과를 정면으로 마주하고 기록한다. 이는 단순한 반성이 아니라, 경험을 자산으로 전환하는 태도다. 책을 읽다 보면 “이 장면은 내 이야기 같아”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왜냐하면 이 책은 창업자만의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실패를 겪고 나를 잃어버릴 뻔한 사람, 그럼에도 다시 나아가고 싶은 모든 사람에게 꼭 필요한 지침서다. 그리고 저자는 마지막에 강력한 질문을 던진다. “당신은 누구인가?”
실패를 통과하며, 결국 나를 마주하게 된다
창업자는 종종 자신의 일과 정체성을 동일시한다. 사업이 흔들리면 ‘나’도 흔들린다. 박소령 작가는 이를 “회사와 나는 한몸이었다”는 말로 표현한다. 첫 번째 레이오프를 겪던 날, 심리상담 선생님은 저자에게 회사와 자신이 지나치게 일체화되어 있다고 조언했고, 그 조언은 결국 이 책의 핵심 통찰로 이어진다. ‘나는 누구인가’, 이 질문이 창업의 시작부터 끝까지 관통한다. 사업 과정에서 만난 수많은 결정의 순간 — - 공동창업 여부, - 펀드레이징, - 자원배분, - 주주관계, - 조직 확장과 축소, - 그리고 매각까지. 이 결정들이 모두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응답이었다는 점을, 저자는 후반부에서 담담히 풀어낸다. 특히, 번복 불가능한 결정의 무게, 외부 환경에 휘둘리지 않고 주체적으로 결정하는 태도, 실패의 원인을 자기반성으로 끌어오는 자세는 리더로서, 그리고 한 사람으로서의 성숙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결국, 독자는 이 책을 덮으며 스스로에게 같은 질문을 던지게 된다. “나는 왜 이 일을 하는가?”
실패를 정직하게 마주한 사람만이 가질 수 있는 통찰
『실패를 통과하는 일』은 단순한 회고록이 아니다. ‘극사실주의 경영서’이자 ‘현실형 자기 성찰서’다. 손익계산서나 성공지표가 말해주지 못하는, 창업자의 내면, 감정, 압박감, 후회, 그리고 용기가 진솔하게 담겨 있다. 책은 화려한 성공 신화에 지친 사람들에게 묻는다. - “당신은 실패를 어떻게 마주하고 있나요?” - “실패의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나요?” - “당신에게 실패란 무엇이었나요?” 또한, 저자는 이런 메시지도 함께 전한다. “실패는 통과하는 것, 지나가는 것,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결국 나를 성장시키는 길이 된다.” 이러한 문장 하나하나는, 실제로 창업을 했거나 어떤 목표를 향해 버티고 있는 이들에게 큰 울림을 준다. 스스로를 다독이며 다음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은 하루치 위로와 이정표가 되어준다.
『실패를 통과하는 일』은 실패의 순간을 숨기지 않고, 그 본질을 정면으로 마주한 책이다. 이 책은 모든 창업자, 리더, 그리고 지금 어떤 일을 통과 중인 사람에게 말한다. “실패는 창피한 것이 아니라, 가장 정직한 기록입니다.” 삶과 사업을 함께 짊어진 박소령 작가의 이 기록은 결국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여정이며, 독자 또한 그 여정에 함께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