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6년 최저임금 얼마? 월급·주휴수당·실업급여까지 한눈에 정리!

by 뽀숑맘의 재테크공부노트 2025. 8. 19.

안녕하세요.

2026년부터 적용될 최저임금이 10,320원으로 확정됐어요. 월급은 얼마나 오르는지, 실업급여나 주휴수당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궁금하셨다면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실 거예요!

 

📌 2026년 최저임금 요약

구분 금액
시급 10,320원
월급 (주 5일 근무 기준) 2,156,880원
전년 대비 인상률 +2.9%

2025년 시급은 10,030원이었으니, 시간당 290원 인상된 셈이에요.

 

 

📚 최저임금이란 무엇인가요?

최저임금은 국가가 정한 노동자의 최소 시급을 뜻합니다.
노동자의 기초생활 보장임금 격차 완화를 위해 매년 고용노동부 장관이 요청하고, 최저임금위원회가 심의 후 결정해요.

 

👥 최저임금은 누가, 어떻게 결정하나요?

  • 최저임금위원회 구성: 총 27명
    • 근로자위원 9명
    • 사용자위원 9명
    • 공익위원 9명
  • 매년 3월 고용노동부 요청 → 6~7월 표결 → 8월 고시 → 다음 해 1월부터 적용

합의가 어려울 경우 공익위원이 제시하는 ‘심의촉진구간’ 내에서 표결로 결정됩니다.

 

📈 결정 기준 4가지

  1. 노동자 생계비 – 식비, 주거비, 의료비 등 필수 비용 고려
  2. 유사 직종 임금 – 동일 업종 평균임금과 비교
  3. 노동 생산성 – GDP, 산업 생산성 등 분석
  4. 소득 분배율 – 임금 격차 해소 여부
💡 2026년에는 경기 침체를 고려해 역대 정부 1년 차 중 두 번째로 낮은 인상률을 기록했어요.

🤝 17년 만의 ‘노·사·공’ 합의

이번 최저임금은 2008년 이후 17년 만에 노사공 합의로 결정되었어요.
다만 일부 근로자위원은 낮은 수준의 제안에 반발해 퇴장하며 완전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지적도 있어요.

 

 

💸 최저임금 인상으로 달라지는 것들

✔️ 주휴수당

연도 1일 주휴수당
2025년 80,240원
2026년 82,560원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 + 소정근로일 출근 시 적용돼요.

✔️ 실업급여 하한액

연도 1일 실업급여 하한액
2025년 64,192원
2026년 66,048원

실업급여는 평균임금의 60%를 기준으로 하며, 최저임금의 80% 수준으로 하한액이 정해집니다.

✔️ 기타 제도 연동

  • 출산전후휴가 급여
  • 고용촉진장려금
  • 지역고용촉진지원금 등

이처럼 정부지원 정책 상당수가 최저임금에 연동되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아요.

❓ 자주 묻는 질문 (FAQ)

Q. 2026년 최저임금은 얼마인가요?
→ 시급 10,320원, 월급 2,156,880원입니다.
Q. 최저임금 인상률이 낮은 이유는?
→ 중소기업과 자영업자의 경영 부담을 고려한 결정입니다.
Q. 인상 대상자는 몇 명인가요?
→ 경제활동인구 중 약 290만 명 이상이 직접 영향을 받아요.

 

📌 마무리하며

2026년 최저임금은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많은 국민의 생활과 권리를 보호하는 기준선입니다.
이번 인상률은 낮지만, 사회 안전망이 연동되어 움직인다는 점에서 중요해요.

실업급여, 주휴수당 등도 함께 변동되니 꼭 확인하시고, 주변에도 알려주세요!

2026년최저임금